SQL Server(23)
-
SQL Server 로그인 계정에 관한 내용!(SSMS 연결 불가)
/*작성일자*/ - 2017.02.02 [내용] - 로그인 계정을 생성 후 SSMS에 연결 시도! 그러나 접속이 안됨,,, - 접속이 안된 원인 분석을 위해 로그를 봤어야 하는데,, ㅠㅠ 로그를 못봄,, - 결과적으로 생성한 로그인 계정의 password를 재설정 한 후에 SSMS에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 [대상 시스템] - SQL Server 2012 [내용 확인] - 로그인 계정 생성 후, SSMS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두가지 확인 사항이 필요하다. 1. 인스턴스 -> 속성 - 아래와 같이 보안 -> 서버인증에서 SQL Server 및 Windows 인증 모드가 체크되어 있어야 한다. 2. 생성한 로그인 계정으로 SSMS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로그인 허용 옵션이 체크되어 있어..
2020.04.09 -
SQL Server Dump 생성
/*작성일자*/ - 2016.07.28 버전별 폴더 위치가 다를 수 있다. MSSQL 2012 의 경우 아래 폴더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QL 2008R2의 경우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100\Shared을 참조 SqlDumper.exe 의 구문은 아래와 같다. 일부 구문은 생략 가능 SqlDumper 전체 덤프 파일 Sqldumper.exe ProcessID 0 0x01100 미니 덤프 파일 Sqldumper.exe ProcessID 0 0x0120 Ex: 1384 Pid 의 덤프 SqlDumper 1384 0 0x01100 파일은 유틸리티가 설치 되어 있는 폴더에 덤프 파일을 생성 파일 형식은 SQLDmpr0001.mdmp 식으로 로그파일과 함께 생성
2020.04.09 -
MSSQL 복구시 계정에 관련된 내용
/*작성일자*/ - 2017.05.17 [내용] - 신규 서버에 복구한 DB에서 계정 및 스키마 삭제시 복구된 DB 영향도 - 계정 및 스키마 삭제시 오류 발생 데이터베이스 보안 주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소유하며 삭제할 수 없습니다. 오류 : 15138 오류 : 3729 [대상 시스템] - MSSQL 2012 [내용 확인] - 백업받은 디비를 신규 서버에 복원했을시에 로그인 계정과 복원된 DB계정의 SID가 맞지 않아 맵핑시켜줘야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복원된 DB의 계정과 로그인 계정이 서로 mapping되어 있지 않고, 기존의 계정 및 스키마를 사용하지 않을거면 삭제를 진행해도 복원된 DB의 영향도는 없다. - 계정 삭제시 오류가 발생(조치방법) - 현재 해당 계정이 소유하고 있는 스키마를 확인..
2020.04.09 -
SQL Server Analysis Service 접속 오류!
/*작성일자*/ - 2017.02.09 [내용] - 클라이언트 PC 엑셀에서 SSAS 연결시 아래와 같은 '전송 계층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류가 발생하면서 접속이 되지 않는 상황!! DB에서 계정을 생성한 후, 접속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방화벽은 모두 close 되어 있는 상태!! - 결론적으로 DB계정이 아닌 OS의 계정으로 연결시 연결이 잘 되는 것을 확인했다. [대상 시스템] - 클라이언트 PC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12 R2 - SQL Server 2014 [내용 확인] - 아래와 같이 두 가지 확인 사항이 필요하다. 1. SSAS의 TCP포트는 2383이다. 해당 포트가 Open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2. SSAS에..
2020.04.09 -
MSCS MSSQL 2016 -> 2014
/*작성일자*/ - 2017.01.02 [내용] - MSSQL 2016으로 구성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2016을 삭제 후, MSSQL 2014로 재설치 - 기본적으로 해당 포스팅에 대한 내용은 가능하다. 하지만 레지스트리 값이나 garbage값이 잔존하게 되며 완벽하게 지우기는 굉장히 힘들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 현 상태는 userDB가 없이 MSCS MSSQL 2016으로 구성만 한 상태에서 다시 MSSQL 2014로 재설치 하는 과정이다. 만약, userDB가 있고 운영중인 MSSQL 환경이라면 아래와 같이 단순하게 삭제하는 과정으로는 안되며,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한다!! - 일단, 내가 진행한 방법이 best한 방법인지는 모르겠으나 msdn에 나와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해보았다! http..
2020.04.09